[SpringBoot] 로그 레벨 변경 - 내장 톰캣 로그 레벨 이슈
프로그래밍/Spring2024. 3. 18. 23:55[SpringBoot] 로그 레벨 변경 - 내장 톰캣 로그 레벨 이슈

스프링부트 로그 레벨 변경기 - 내장 톰캣 로그 레벨 이슈 오늘 강의를 듣다가 HTTP 요청 로그가 뜨지않아서 찾아본 경험을 정리합니다. 디버깅을 위해 로그 레벨을 설정했는데, 로그가 보이지 않는 상황이 발생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시도 끝에 찾아낸 정보와 해결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해요. 로그 레벨이란? 먼저, 로그 레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, 로그 레벨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는 것 입니다. 스프링부트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로그 레벨을 제공해요. TRACE: 가장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,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흐름과 디버깅 정보를 상세히 기록. DEBUG: 개발 단계에서 상세한 정보를 기록하며 애플리케이션의 내부 동작을 이해하는 데 도움. INFO: ..

Spring Framework의 @Component 어노테이션
프로그래밍/Spring2024. 2. 26. 22:14Spring Framework의 @Component 어노테이션

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 이해하기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은 SpringFramework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, 클래스를 특정 목적에 따라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. 이를 통해 Spring은 클래스를 더 쉽게 관리하고, 개발자는 더 쉽게 코드를 작성하고 이해할 수 있다.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에는 크게 @Component, @Service, @Repository, @Controller가 있다. 각각의 어노테이션은 해당 클래스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.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의 역할 스테레오타입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의 컴포넌트 스캔 기능에서 사용된다.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해당 클래스를 빈으로 자동 등록한다. 이는 개발자가 XML이나 자바 설정 ..

im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