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CS] (중앙처리장치)CPU의 작동원리는?
CS/컴퓨터구조2023. 8. 20. 20:39[CS] (중앙처리장치)CPU의 작동원리는?

목차CPU란?연산장치제어 장치레지스터CPU의 동작 과정명령어 세트란? CPU란?CPU는 컴퓨터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.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메인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실행한다.'인간의 두뇌'에 해당되며 크게 3가지로 구성된다.1) 연산 : 덧셈, 뺄셈, 곱셈 등의 산술 연산과 논리곱, 논리합, 부정 등의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. 두 가지 연산을 모두 수행하기에 산술논리연산장치라고도 불린다. 연산장치는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가져오고, 연산 결과를 다시 레지스터로 보내 저장한다.2) 제어 :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장치이다. 주기억장치에서 프로그램 명령어를 꺼내 해독한 다음, 해독한 결과에 따라 명령어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기억장치, ..

CS/컴퓨터구조2023. 8. 20. 20:38[CS] 컴퓨터의 구성요소

목차✅ 컴퓨터의 구성요소✔︎ 1) 중앙처리장치(CPU, Central Processing Unit)(1) ALU(Arithmetic and Logic Unit)(2) 제어장치(CU, Control Unit)(3) 레지스터(Register)(4) 내부 버스(Internal Bus)✔︎ 2) 주기억장치(Main Memory)(1) 적재(Load)(2) 저장(Store)(3) 워드(Word)✔︎ 3) 입출력장치(I/O Unit)✔︎ 4) 시스템 버스(System bus)(1) 주소 버스(2) 데이터 버스(3) 제어 버스 ✅ 컴퓨터의 구성요소✔︎ 1) 중앙처리장치(CPU, Central Processing Unit)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들여 수행하는 주체명령어 사이클(Fetch/Execution)을 반복..

CS/자료구조2023. 8. 13. 13:45[자료구조] Queue - 큐

목차► Queue 란?✔︎ 큐의 동작원리⇒ 데이터 삽입 : enQueue⇒ 데이터 추출 : deQueue✔︎ LinkedList를 이용해서 Queue 구현✔︎ ArrayList를 이용해 Queue 구현✔︎ 배열을 이용해서 원형Queue 구현► Queue 란?Queue 자료구조는 입구와 출구가 따로 있는 통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.먼저 들어간 사람이 먼저 나가는, 한마디로 음식점에서 대기하는 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👉큐는 FIFO다 (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) 먼저 들어간 물건이 가장 먼저 나온다. ✔︎ 큐의 동작원리큐는 기본적으로 한쪽에서는 데이터 삽입이 이루어지고 한쪽에서는 데이터 추출이 이루어진다. (예외적으로 Deque 데크라는 자료구조는 앞뒤에서 삽입/추출이 이루어진다.) ⇒ 데..

[자료구조] Array vs ArrayList
CS/자료구조2023. 8. 13. 13:42[자료구조] Array vs ArrayList

목차✔︎ Array✔︎ ArrayList ✔︎ Array배열의 크기는 처음 한번 정하면 변경할 수 없다.배열 초기화 시 메모리에 할당되어 ArrayList보다 속도가 빠르다.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한다. 따라서 인덱스로 해당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그렇기 때문에 찾고자 하는 원소의 인덱스 값을 알고있으면 O(1)로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 즉, random access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. ✔︎ ArrayList크기가 가변적이다.저장하는 데이터 수에 따라서 크기가 변경된다.데이터 추가, 삭제가 가능하지만 그마다 메모리를 재할당하기 때문에 속도가 배열보다 느리다.n개의 자료를 저장할 때 ArrayList는 자료들을 하나의 연속적인 묶음으로 묶어 자료를 저장무작위 접근 가능사이즈 고..

CS/네트워크2023. 8. 5. 15:05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 의 개념과 역할

목차▶︎ 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☑️ 1.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(Network Access Layer)☑️ 2. 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☑️ 3.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☑️ 4. 응용 프로그램 계층 ( Application Layer)► TCP / IP 4계층이 이용되는 이유▶︎ 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👉아래의 그림처럼 TCP/IP 4 Layers 모델은 OSI 7 Layers가 축약된 것으로 볼 수 있다. OSI 7계층이 네트워크 전송의 표준을 정립한것이라면, TCP/IP 4계층은 실제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다. TCP(상위계층) : 메세지나 파일을 작은 패킷으로 나누거나 재조립해서 송수신에 반영한다.IP(하..

im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