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► Queue 란?✔︎ 큐의 동작원리⇒ 데이터 삽입 : enQueue⇒ 데이터 추출 : deQueue✔︎ LinkedList를 이용해서 Queue 구현✔︎ ArrayList를 이용해 Queue 구현✔︎ 배열을 이용해서 원형Queue 구현► Queue 란?Queue 자료구조는 입구와 출구가 따로 있는 통로라고 볼 수 있습니다.먼저 들어간 사람이 먼저 나가는, 한마디로 음식점에서 대기하는 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👉큐는 FIFO다 (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) 먼저 들어간 물건이 가장 먼저 나온다. ✔︎ 큐의 동작원리큐는 기본적으로 한쪽에서는 데이터 삽입이 이루어지고 한쪽에서는 데이터 추출이 이루어진다. (예외적으로 Deque 데크라는 자료구조는 앞뒤에서 삽입/추출이 이루어진다.) ⇒ 데..
![[자료구조] Array vs ArrayList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EVnke%2Fbtsq2j0nUFQ%2FVuKC2sKQxOa0QuRO3vy7U0%2Fimg.png)
목차✔︎ Array✔︎ ArrayList ✔︎ Array배열의 크기는 처음 한번 정하면 변경할 수 없다.배열 초기화 시 메모리에 할당되어 ArrayList보다 속도가 빠르다.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한다. 따라서 인덱스로 해당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그렇기 때문에 찾고자 하는 원소의 인덱스 값을 알고있으면 O(1)로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 즉, random access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. ✔︎ ArrayList크기가 가변적이다.저장하는 데이터 수에 따라서 크기가 변경된다.데이터 추가, 삭제가 가능하지만 그마다 메모리를 재할당하기 때문에 속도가 배열보다 느리다.n개의 자료를 저장할 때 ArrayList는 자료들을 하나의 연속적인 묶음으로 묶어 자료를 저장무작위 접근 가능사이즈 고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