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네트워크2023. 8. 5. 15:05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 의 개념과 역할

목차▶︎ 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☑️ 1.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(Network Access Layer)☑️ 2. 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☑️ 3.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☑️ 4. 응용 프로그램 계층 ( Application Layer)► TCP / IP 4계층이 이용되는 이유▶︎ TCP/IP 4 Layers (TCP/IP 4계층)👉아래의 그림처럼 TCP/IP 4 Layers 모델은 OSI 7 Layers가 축약된 것으로 볼 수 있다. OSI 7계층이 네트워크 전송의 표준을 정립한것이라면, TCP/IP 4계층은 실제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다. TCP(상위계층) : 메세지나 파일을 작은 패킷으로 나누거나 재조립해서 송수신에 반영한다.IP(하..

CS/네트워크2023. 8. 5. 15:05OSI 7 Layers (OSI 7계층) 의 개념과 역할

▶︎ OSI 7 Layers (OSI 7 계층)☑️ 1. 물리 계층(Physical Layer)☑️ 2. 데이터 링크 계층(DataLink Layer)☑️ 3. 네트워크 계층(Network Layer)☑️ 4. 전송 계층(Transport Layer)☑️ 5. 세션 계층(Session Layer)☑️ 6. 표현 계층(Presentation Layer)☑️ 7. 응용 계층(Application Layer) ▶︎ OSI 7 Layers (OSI 7 계층)💡OSI(Open System Interconnection) 7 Layers는 국제 표준화기구(ISO)에서 개발한 모델로서,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데이터 통신을 계층으로 나눠 표준화한 것이다. 아래 사진처럼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7계층 ~ 1계층으로 이루..

CS/네트워크2023. 7. 25. 22:32HTTP, HTTPS의 개념과 차이점

▶︎ HTTP란 ?▶︎ HTTPS란 ?▶︎ 대칭키, 비대칭키란?☑️ 대칭키와 비대칭키 방식을 같이사용하는법은 이렇다.▶︎ HTTPS 동작 과정▶︎ HTTP란 ?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은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이다. HTTP는 텍스트, 이미지, 영상 등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. HTTP는 Client와 Server간 자원을 주고 받을 때 쓰는 통신규약이다. 하지만 HTTP는 암호화 되지 않은 통신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다. 또한 정보 교환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때문에 위장이 가능하고, 상황에따라 데이터 변조가 가능하다. 이러한 취약점이 있기때문에 비밀번호나 민감한 개인정보등을 주고 받으면 원치않는 제 3자가 정보를 엿볼수 ..

CS/네트워크2023. 7. 25. 22:28대칭키, 비대칭키(공개키)는 무엇일까?

▶︎ 대칭키, 비대칭키, 공개키, 개인키☑️ 대칭키 암호화?☑️ 비대칭키 암호화?1.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경우2. 개인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경우☑️ 대칭키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법▶︎ 대칭키, 비대칭키, 공개키, 개인키대칭키와 비대칭키, 공개키와 개인키, 서로서로 연관되는 단어들인데 도무지 어떤식으로 활용되는지 감이 안잡히지 않나요? 일단 자세하게 들어가기 앞서 간단하게 어떤 뜻인지 알아봅시다.공개키란(Public Key), 누구던 키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할 수 있는 키입니다. 흔히 인터넷(네트워크)를 통해서 공유된 키들을 공개키라고 합니다. 개인키는(Private Key), 자기 자신만이 소유하고있고 관리하는 키입니다. → 아무리 개인키라고해도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이 된다면 공유키라 볼수도..

imag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