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[Java] StringBuilder 클래스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vq9x3%2Fbtsq7cTVcHn%2FOdE0jqYUJOImzFfEikpkt1%2Fimg.png)
목차StringBuilder 란?장점 및 특징단점메서드 사용예제append(String str) : 문자열 추가insert(int offset, String str) : 문자열 삽입replace(int start, int end, String str) : 문자열 대체delete(int start, int end) : 문자열 삭제reverse() : 문자열 역순 변환toString() : StringBuilder를 String으로 반환정리 StringBuilder 란?👉StringBuilder란 문자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클래스이다. 변경가능한 문자열을 생성하고 조작하는데 사용된다. 일반적인 String 클래스와 달리 StringBuilder는 문자열을 수정할때 매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기..
![[Java] Map - getOrDefault(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dCHLqe%2Fbtsq7b8AAZ2%2FzQUC6sohev7Q2MCIaqn7B1%2Fimg.png)
목차getOrDefault() 메서드란?예제1예제2정리getOrDefault() 메서드란?Map.getOrDefault(key,deafaultValue) 메서드는 자바의 Map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메서드 중 하나이다. 역할은 지정된 키의 값을 반환하고 해당 키가 Map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defaultValue를 반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 예제1import java.util.HashMap; import java.util.Map; public class MapGetOrDefaultExample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// Map 생성 Map ageMap = new HashMap(); // 값 추가 ageMap.put("Alice", 25); ageMa..
![[Java] 문자열 비교할때 == 와 equals()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PVf4D%2Fbtsq1cUXnYP%2FKsB8nKDBv9BHStBM11m3ak%2Fimg.png)
목차‘==’ 와 ‘equals()’‘==’ 연산자‘equals()’ 메서드결론 ‘==’ 와 ‘equals()’자바에서는 데이터의 비교에는 == 연산자를 주로 이용한다. 하지만 String 문자열의 값을 비교할때는 == 보다 equals() 메소드를 쓰는데 왜 그럴까? == 연산자는 객체의 값(주소)를 비교하는것이고,equals()는 문자열 자체를 비교하는 것이다. ‘==’ 연산자‘==’ 연산자는 두 문자열의 메모리 주소를 비교한다. 즉, 두 문자열이 동일한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지를 확인합니다. 이 연산자는 문자열의 내용이 아닌 참조를 비교하므로 예상한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. String str1 = "Hello"; String str2 = "Hello"; String str3 = new St..
![[자료구조] Array vs ArrayList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EVnke%2Fbtsq2j0nUFQ%2FVuKC2sKQxOa0QuRO3vy7U0%2Fimg.png)
목차✔︎ Array✔︎ ArrayList ✔︎ Array배열의 크기는 처음 한번 정하면 변경할 수 없다.배열 초기화 시 메모리에 할당되어 ArrayList보다 속도가 빠르다.논리적 저장 순서와 물리적 저장 순서가 일치한다. 따라서 인덱스로 해당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그렇기 때문에 찾고자 하는 원소의 인덱스 값을 알고있으면 O(1)로 원소에 접근할 수 있다. 즉, random access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. ✔︎ ArrayList크기가 가변적이다.저장하는 데이터 수에 따라서 크기가 변경된다.데이터 추가, 삭제가 가능하지만 그마다 메모리를 재할당하기 때문에 속도가 배열보다 느리다.n개의 자료를 저장할 때 ArrayList는 자료들을 하나의 연속적인 묶음으로 묶어 자료를 저장무작위 접근 가능사이즈 고..

목차✅ 2주차 경과 리포트 ~8/6✔️ 목표[1] 코딩테스트 풀기✔️ 목표[2] CS정리✔️ 목표[3] 학습내용 정리👨🏻💻 수정되어야 할 계획 👉벌써 2주차네요!! 생각보다 시간이 팍팍 지나가는중이랍니다.. 공부하면서 목표한 블로그 글을 쓰는게 쉽지가 않네요. 하지만 일단 목표를 잡았으니 끝까지 한번 해보겠습니다!! 백준 장학금 1주차 내용이 궁금하신분은 링크 확인해주세요!목표 달성 백준 장학금 - 1주차🔳 백준 장학금을 신청하게 된 이유🔳 한달 간 목표와 계획🔳 백준 장학금 도전에 임하는 소감✅ 1주차 경과 리포트 ~7/30✔️ 목표[1] 코딩테스트 풀기✔️ 목표[2] CS정리✔️ 목표[3] 학습내용 정리 제로베이스 백엔드 스쿨 수강을 기다리면서 공부중에 백준 장학금을 받는 이벤트가 있다고해서 곧바로..